Oracle VirtualBox Part 2 - VM 생성


Oracle VirtualBox Part 2 - VM 생성

이번에는 Oracle VirtualBox를 이용하여 VM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VM은 Virtual Machine의 약자로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실제처럼 보이는 서버'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그럼 지금 바로 그 절차를 확인해 보세요~

# Environment
- MS Windows 10 Home Edition
- Oracle VirtualBox 5.2.18 Build 124319


VirtualBox를 실행한 다음 콘솔 왼쪽 상단의 아이콘 중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가상 머신 만들기 창이 팝업되면 가장 먼서 이름을 입력하고 운영 체제의 종류와 버전을 선택합니다.

- 이름 : VirtualBox 콘솔에 표시되는 이름입니다. 관리하기 편한 이름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 종류 : Linux / Windows 등을 선택하면 됩니다.
- 버전 : Architecture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메모리 크기를 설정합니다. 메모리는 화살표로 움직여서 설정해도 되고, 우측의 네모 박스에 직접 입력을 하셔도 됩니다.

참고로 여기서 설정하는 메모리는 VirtualBox를 실행하고 있는 본인의 PC 메모리보다 작아야 합니다. 메모리를 공유가 아닌 할당 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인데요~ 즉, 가상머신은 무한대로 만들 수 없고,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만 생성이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하드 디스크를 설정합니다. 용량을 설정하기 전에 타입을 결정해야 하는데요, 먼저 새로 만들지, 기존의 디스크를 연동할지를 선택합니다. 특별한 다른 목적이 없을 경우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다음은 디스크 파일 종류인데요, VDI, VHD, VMDK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역시 특별한 다른 목적이 없을 경우 VirtualBox 기본 타입인 VDI로 선택합니다.


해당 디스크를 동적으로 할당할지 고정 크기로 할당할지 선택을 하면 되는데요, 역시나 특별한 목적이 없다면 동적 할당으로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디스크의 위치를 선택합니다. VDI 형식이 저장 될 폴더 경로를 선택하는 건데요, 굳이 관리할 필요는 없지만 추후 백업 및 데이터 정리 등의 이슈가 있을 수도 있으니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경로로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VM 생성과정을 마무리 하면 콘솔에 다음과 같이 본인이 설정한 이름으로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측 매뉴 중 '자세한 정보'를 클릭하면 VM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제대로 생성했는지 다시 한 번 점검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경우 기본적으로 1개만 생성이 되며, NAT 형식으로 생성이 됩니다. 즉 'VM --> 외부'는 인터넷이 가능하지만 '외부 --> VM'은 인터넷이 불가능 합니다. 터미널 등으로 접속하기 위한 설정을 추가로 하시려면 이후 포스팅 할 'Part 5 네트워크 설정'을 참고하세요.


VM 정보까지 확인이 완료되면 이제 가상머신을 시작하시면 됩니다. 콘솔 상단 매뉴 중 '시작'을 클릭하면 바로 가상머신의 전원이 켜지고 시작이 됩니다.


VirtualBox에서 자체적으로 VM에 접속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일 처음 부팅을 시도하면 다음과 같이 '시동 디스크'를 선택하라고 나오는데요, 시동 디스크는 말 그대로 OS를 설치하기 위한 DVD를 넣으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설치이미지(DVD)를 선택하면 정상적으로 설치 화면으로 진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도 마찬가지 입니다.) 


# 다른 Oracle VirtualBox 가이드 확인하기
https://mkdir-chandler.blogspot.com/search/label/VirtualBox





댓글